본문 바로가기

OLD/HOT 이슈

네이버 뉴스의 새로운 기능?! 점심을 먹고 네이버 뉴스를 보고 있었는데 새로운 기능이 생겼더군요!갑자기 발견한거여서 부랴부랴 포스팅합니다 ㅎ 네이버 뉴스에 영어단어 (아직까지는 영어단어에만 붙는 것으로 보입니다) 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영어 단어는 노란색으로, 마우스 커서는 클릭이 가능한 손가락 모양으로 바뀝니다. 궁금해서 클릭을 해 보니, 맥북에서 지원되던 사전 검색 결과가 나오네요!주로 쓰는 웹브라우저가 크롬이다보니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깔렸나 확인 했는데 네이버에 관련된 확장 프로그램은 설치 되지 않았습니다"그렇다면 네이버에서 추가한 기능인가?" 싶어서 IE로 같은 페이지를 봤더니 역시 같은 기능이 지원되네요! 캡쳐 한 화면입니다아래 사진은 크롬에서 캡쳐한 화면입니다. 여기는 IE 캡쳐 화면 일어, 중국어, 한자 등등 네이버의.. 더보기
아마존과 라쿠텐의 비지니스 모델 비교 아마존(amazon.com)과 라쿠텐 (rakuten.co.jp) 은 일본에서 대표적인 인터넷쇼핑 사이트입니다. 프레젠테이션했던 두 회사의 차이점을 블로그에 정리해 보려 합니다. 아마존과 라쿠텐의 비지니스 모델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아마존의 비지니스 모델 연도 1995 1996 2002 2006 2007 비지니스 모델 amazon.com amazon associates amazon webservices amazon webstore amazon kindle 종합 유통서비스 온라인 마케팅 클라우드 서비스 마켓 플레이스 (오픈 마켓) e-book 서비스 경쟁 회사 Walmart, eBay Google, IBM, Microsoft eBay, Google Barnes&Noble, Apple, Sony 1995년 .. 더보기
클라우드를 주도하는 주목해야 할 서비스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나,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클라우드 진영의 최강자들인 SFDC, LinkedIn, Google Apps Engine, Amazon 등등의 서비스 중 몇가지만 간단히 소개해 보려 합니다. LinkedIn 바로가기 자신의 이력/경력을 클라우드로 관리 하는 서비스 입니다. 한국의 비슷한 서비스로는 나우콤이 운영하는 링크나우 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따로 관리 해 오던 자신의 이력서를 클라우드로 관리하고, 공개 한 이력서로 회사와 컨택도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LinkedIn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있다고 합니다. 아쉬운 것은 UTF-8인코딩으로 한글을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으나, 메뉴등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LinkedIn 일본지사에서.. 더보기